폐백, 새로운 가족과의 첫 인사
요즈음 미국에서 신랑 신부 중에서 한명이라도 한국인이면 폐백을웨딩 세레모니 중 하나로 넣고 있는 추세다. 미국에 살고 있는 하객들에게 한국의 웨딩 문화와 풍습을 알리기도 하고, 순백색의 깨끗하고 우아한 웨딩 드레스와는 상반되게 화려한 색감의 한복으로 또다른 신부의 예쁜 모습을 보여 줄 수 있으며, 어른들의 덕담과 함께 받는 절 값이 신혼여행의 비용으로 너무나도 유용하게 쓰인다는 후기로 폐백에 대한 문의를 해오는 신랑 신부가 점점 더 늘어가고 있다.
글유해경_웨딩 아티스트
폐백의 의미
폐백은 원래 신부의 집에서 혼례를 치르고 시댁으로 가서 정식으로 시부모님과 시댁 식구들에게 첫 인사를 드리는 절차를 말한다. 시댁 어른을 존중하고 시댁 식구들과 화목한 가정을 이루는 의식이 폐백의 참된 의미이므로 간소하게 하되 정성을 다하는 마음가짐이 중요하다.
폐백 의상
신랑은 바지 저고리에 사모관대를 갖추고, 신부는 대례복인 활옷에 족두리를 쓰고 손은 흰색 한삼으로 덮는다.
폐백상 준비하기
폐백상은 신부 측에서 시댁식구들에게 인사 드리기 위해 준비된 음식으로 상을 차리는데, 대표적인 음식과 그 의미를 알아보도록 하자.
- 폐백닭: 시부모님을 받들어 공경하고 다산(자식을 많이 낳음)과 부지런함을 의미하고 닭벼슬은 아들을 낳으면 큰 인물로 키우겠다는 의미이다.
- 밤과 대추: 자손과 집안 번창을 의미하는데 대추는 양기를 지니고 있어 아들을, 밤은 음기를 지니고 있어 딸을 상징한다.
- 구절판: 9는 숫자 중에서 가장 으뜸으로 완전하고 충만함을 의미한다. 새로운 인생을 출발하는 신랑 신부의 가정에 부와 행운이 가득하기를 바라는 부모님들의 마음을 표현한다.
- 육포: 며느리를 넓은 아량으로 맞아 달라는 의미이다.
폐백 순서
병풍을 치고 폐백상을 차리고 술잔을 놓는다. (기독교나 카톨릭 신자일 경우, tea를 사용하기도 한다) 시부모님께 제일 먼저 절을 드리고, 다음 순서대로 절을 하여 예를 갖춘다. 어른들께는 큰 절을 하고, 같은 서열인 형제, 자매, 사촌들은 맞절을 한다. 절을 한 후, 앉아서 술(또는 tea)를 올리고 어른들이 덕담과 함께 밤과 대추를 신부의 치마에 던져 주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