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조선희

 

핼러윈은 매년 10 31일에 돌아오는 명절이다. 핼러윈은 켈트족 축제 중 하나인삼하인에서 유래했는데, 축제를 기념하려고 특별한 변장을 한다는 공통점이 있다. 핼러윈이 되면
아이들은 변장을 하고 ‘trick or treat’을 나간다. 이웃집을 돌며 “trick or treat”을 외치고 사탕을 받아오는 것이다.

어렸을 때 학교에서 핼러윈을 맞이해 퍼레이드를 했던 기억이 있다. 아이들 모두 변장을 하고 학교에 와서 본인들 옷차림을 과시하기도 하고 다른 아이들은 뭘 입었는지 구경하기 위해 복도를 돌아다녔다. 그리고는 교실로 돌아와 핼러윈 파티를 했는데, 파티는 보통 핼러윈 주제의 영화를 보거나 유령, 좀비, 호박, 혹은 미라로 장식한 간식을 먹는 것이었다. 수업이 끝나면 아이들 모두 삼삼오오 모여 ‘trick or treat’을 하러 갔다. 거리 곳곳에서 초등학교부터 중학교까지 다양한 연령대의 아이들을 볼 수 있었다.

핼러윈의 또 다른 상징적 전통은 호박을 조각하는 것이다. 속을 파내 조각한 호박은 ‘Jack O’ Lantern’이라 부른다. 10월에 접어들면 식료품점에 호박이 슬슬 나타나기 시작하는데, 어린이 혼자 호박을 조각하는 건 위험해서 결국 가족 전체가 동원되는 행사가 된다. 우리 가족은 거의 엄마가 호박을 파서 조각하는 걸 담당해 주셨고, 호박이 어떤 얼굴이 될지 결정하는 것은 나와 내 동생 몫이었다. 호박 조각은 어렵기 때문에 보통은 삼각형, , 아니면 직선 같은 단순한 모양으로 디자인하지만 좀 더 복잡한 모양을 넣는 경우도 있다. 다 조각한 호박은 문밖에 내놓고 안에 등을 넣어 얼굴이 빛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이 전통이다.

핼러윈 기간에 산책하면 아름다운 경관을 만끽할 수 있다. 나무들은 주황색, 빨간색, 그리고 노란색으로 물들어 있고 Jack O’ Lantern은 바닥에 놓여 은은히 빛을 낸다. 어떤 집들은 유령의 집처럼 외관을 꾸며놓기도 한다. 핼러윈에 특별한 의상을 입지 않고 주변을 걷는 것만으로도 충분히 핼러윈 분위기를 만끽할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