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ver Give Up,
Tell Your Truth
뇌졸중 극복한 에세이 펴낸 한인 2세 작가, 크리스틴 형옥 리 작가
서른 세살 젊은 나이에 뇌졸중이란 힘든 병을 겪었고 극복해 냈다. 그 모든 과정을 거치면서 얻은 소중한 삶의 진실을 진실한 마음으로 글로 써 내려갔고, 책으로 펴냈다. 한국계 미국인 작가 크리스틴 형옥 리는 자신이 ‘한국인’임을 결코 잊지 않는다. 아픔을 겪었고, 또 ‘한국인’이기에 오롯이 자신만의 글을 쓸 수 있다고 힘주어 말하는 진솔한 작가, 크리스틴 형옥 리를 만나보았다.
인터뷰 Cindy Park_리포터• 번역 이영선
*맘앤아이 작가님은 뉴욕에서 태어났지만, 많은 작품들이 한국에 뿌리를 두고 있는데요, 어떻게 그렇게 가깝게 한국 문화와 함께 할 수 있었으며, 한국 문화로부터 어떤 영향을 받으셨나요?
저는 미국에서 태어났지만, 제 모국어는 한국어였습니다. 부모님은 제가 1960년대 1세대 이민자들이 그랬듯, 악센트가 강한 영어를 구사하는 걸 원치 않으셨습니다. 그래서 저를 유치원에 데리고 가 이곳 현지인처럼 영어를 말할 수 있도록 가르쳐 달라고 부탁했죠. 유치원 원장님은 제가 영어를 부모님이 아니라 학교에서 배워야 한다고 조언하셨죠. 제가 ‘한국인’이 된다는 건 이런 식이었습니다. 비록, 액센트 없는 현지 영어를 구사하고 밖에서 보면 문화적 ‘카멜레온’이었지만 저는 늘 한국인이 되고 싶었습니다. 그러다 부모님은 저를 17살부터 21살까지, 매년 여름 한국으로 보내셨습니다. 저는 이모와 할머니와 함께 지냈고, 그 여름 동안 제가 태어난 한국의 문화와 한국이란 나라를 직접적으로 이해할 수 있는 기회가 되었습니다. 그것도 아주 편안하고 즐겁게 말이죠.
*맘앤아이 언제 처음으로 글을 쓰기 시작 했나요?
나는 글을 쓰는 것과 출판은 별개라고 생각합니다. 글을 쓴다는 건 출판을 하기 훨씬 전부터 이루어지는 것이니까요. 저는 8살 때부터 작가가 되기를 원했습니다. 부모님은 제 꿈을 지지해 주시긴 했어도 어느 정도는 그저 꿈이라고만 생각하시는 것 같았지요. 부모님은 미국인들이 한국계 미국인이 쓴 글을 읽어 주지 않을 거라 여기신 거죠. 그래서 저는 의사와 작가를 같이 희망하게 되었습니다. 감사하게도, 제 처녀작에 이 두 가지 꿈이 모두 포함되어 있습니다.
제가 본격적으로 글을 쓰기 시작한 건 30대 초반부터입니다. 첫 번째 작품이 <벨리Bile>라는 단편 소설이었는데 ‘Zyzzyva’ 라는 문학 잡지에 기고한 것입니다. 책은 곧바로 출간되어 정말 뿌듯했습니다. 하지만 그 뒤로 꽤 오랜 시간 동안 책을 출판하지 못했습니다.
*맘앤아이 뇌졸증을 겪으시면서 배운 가장 중요한 교훈은 무엇이며 그 경험이 작가님의 글에 어떤 영향을 미쳤는지요?
<당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모든 것을 나에게 말해줘(Tell Me Everything You Don’t Remember)>는 제가33살에 뇌졸중을 겪고 회복하면서 그 과정에서 배운 것들에 관해 쓴 이야기입니다. 저의 회복은 제가 한국인 이민자의 딸이라는 사실에 실로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 그리고 전 15분짜리 단기 기억력으로 세상을 항해하는 법을 배웠죠.
결국, 저는 일어서는 법을 배웠고, 항상 다시 일어서고 있습니다. 그리고 오늘 저는 후회 없는 인생을 살아갑니다. 이런 모든 것들이 결국 제 글에 많은 영향을 주고 있지요. 글을 쓴다는 것은 인내와 헌신 없이는 힘드니까요. 그만두기는 쉽습니다. 차라리 솔직한 감정을 드러내지 않고 글을 쓰는 편이 쉽고요. 하지만 앞으로 꾸준히 밀고 나가고, 또 용기 내서 솔직하게 글을 쓰면서 훨씬 더 큰 보람을 느낍니다.
*맘앤아이 한국계 미국인이란 정체성이 ‘작가’로서의 삶에 어떤 영향을 미치고 있는지요?
한국계 미국인이란 제 정체성은 제 삶의 모든 면면이 영향을 미치고 있지요. 그게 다름 아닌 제 자신이니까요. 그 점이 전 무척이나 자랑스럽고요. 제가 한국계 미국인이라는 사실은 제 글에 많은 영향을 주면서 동시에 더 많은 배움을 줍니다. 그리고 제 자신의 정체성은 매일 매일, 제가 이루어가는 ‘발견’을 통해 확장되고 있습니다. 예를 들어, 최근에 한강과 신경숙 같은 한국 작가들의 책을 읽었는데요, 많은 면에서, 제 영어 문장들이 한국 작가들의 것과 매우 흡사하다는 것을 깨달았습니다.
*맘앤아이 작가님의 앞으로의 계획과 목표는 무엇입니까?
만약 내 삶이 43살이 되었을 때 끝날 것이라는 말을 들었다 해도, 나는 그 말을 믿지 않았을 겁니다. 지금의 내 삶은 내가 계획한 게 아닙니다. 삶이 내가 세운 계획대로 된다면, 전 실망할 겁니다. 나는 내 삶을 바쳐 사랑하는 딸을 가진 엄마고 현직 작가입니다. 이런 것들이 나의 꿈입니다. 저는 있는 그대로 그것들을 받아들일 것 입니다, 내 목표는 이 선물들을 소중히 여기고 절대로 놓지 않는 것입니다.
*맘앤아이 작가가 되고자 하는 한인 2세들을 위해 작가님의 조언을 부탁 드립니다.
읽고, 계속 글을 쓰세요. 절대 포기하지 마시고, 진실을 말하세요.
Christine Hyung-Oak Lee
한국계 미국인 2세 작가. 뉴욕에서 태어나 UC버클리를 졸업하고 밀스 칼리지에서 석사 학위를 받았다. 2017년 초, 뇌졸중을 발견하고 극복한 체험을 진솔하게 엮은 <당신이 기억하지 못하는 모든 걸 말해줘(Tell Me Everything You Don’t Remember)>를 발표한 데 이어 2018년 출간 예정인 소설 <서울의 골렘 (Golem of Seoul)> 집필에 몰두하고 있다.
You were born in New York City, but a lot of your writing reflects your deep connection to your Korean roots. How did you grow up so close to Korean culture and how did it influence you?
I was born in America, but my first language was Korean—my parents didn’t want me to grow up with an accent, having suffered so much as new immigrants in the 1960s. So they brought me to a preschool and asked how they could teach me to speak English like a native speaker. The head of my preschool told them they shouldn’t teach me English; that instead, the school would. This, I think, is an example of my relationship to being Korean. I speak unaccented English and am a cultural chameleon on the outside, but I am always going to be Korean, first.
I was born in America, but my first language was Korean—my parents didn’t want me to grow up with an accent, having suffered so much as new immigrants in the 1960s. So they brought me to a preschool and asked how they could teach me to speak English like a native speaker. The head of my preschool told them they shouldn’t teach me English; that instead, the school would. This, I think, is an example of my relationship to being Korean. I speak unaccented English and am a cultural chameleon on the outside, but I am always going to be Korean, first.
To that end, my parents sent me to Korea every summer from the age of 17 to 21. I stayed with my auntie and grandmother—and those summers were also formative to me in understanding firsthand the culture and country from where I came, and associating it with comfort and joy.
When did you first begin to write and publish?
I feel like writing and publishing are two different events. Writing happens a long time before publication. I’ve written my entire life—and I’ve wanted to become a writer since I was 8 years old. My parents supported that dream, but only in the sense that it was a dream. They couldn’t fathom an America that wanted to read what a Korean American person wrote. So I revised what I wanted to become: a doctor and a writer. I am delighted that my first book is in a sense, a melding of the two. I started writing seriously in my early 30s. I wrote my first piece, a short story called “Bile,” which I submitted to a literary magazine called Zyzzyva. It was immediately published—I was overjoyed, but then I started paying my dues: I wasn’t published again for a very long time.
Tell us about your upcoming book, Tell Me Everything You Don’t Remember. What is the most important lesson you learned from your stroke and how did it impact your writing?
<Tell Me Everything You Don’t Remember> is a story of my stroke at the age of 33, and the ensuing recovery and lessons learned. Much of my recovery was informed by being a Korean American daughter of immigrants. And I learned to navigate the world with a 15 minute short term memory. In the end, I learned to get up. Always get back up. And live life with no regrets.
This has informed my writing to no end; so much of writing is about perseverance and commitment. It is easy to quit. It is easy to hold back your true feelings on the page. But it is more rewarding to keep pushing forward and write with bold courage.
How does your Korean-American identity define or shape you as a writer?
My Korean American identity defines and shapes me in every single way imaginable. It is who I am, full stop, and I am proud of it. I am learning more and more the ways in which being Korean American informs my writing. And my own identity is expanding through my discovery each and every day. For example, most recently, I’ve been reading Korean writers like Han Kang and Kyung-sook Shin. And in reading them, I realized that in many ways my written English very much resembles the spare syntax of Korean writers.
What are your plans and goals for your future?
If you had told me my life would have ended up here at the age of 43, I would not have believed you. My life today was not what I planned—and if I expected my plan to go through, I would be disappointed, even if my life today is in many ways a dream come true. I have a daughter who is the love of my life, and I am a working writer. Those are my dreams. I will take them. My goal is to treasure these gifts and never let them go. If you had told me my life would have ended up here at the age of 43, I would not have believed you. My life today was not what I planned—and if I expected my plan to go through, I would be disappointed, even if my life today is in many ways a dream come true. I have a daughter who is the love of my life, and I am a working writer. Those are my dreams. I will take them. My goal is to treasure these gifts and never let them go.
Can you give some advice for second generation Korean-Americans aspiring to become writers?
Read. Keep writing. Never give up. Tell your truth.
박지영/Cindy Park
뉴욕의 Vassar College에서 영화학을 공부하는 대학생 리포터. KBS 다큐 ‘한국의 집밥, 뉴욕에서 다시 태어나다’에 출연했고 한국 TV 프로덕션에서 인턴을 지냈다. 영어와 한글로 취재하고 글을 쓰며 이중언어 저널리스트를 꿈꾸고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