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지원 미술치료사

책 육아가 여전히 유행이다. 책을 많이 읽는 아이들에게 쏟아지는 찬사만 봐도 우리 사회가 독서를 얼마나 숭배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내가 독서 열풍에 가지고 있는 근본적인 질문은 이것이다. ‘왜 책을 많이 읽어야 하 는가?’ 우리는 ‘읽다’라는 행위가 의미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해 고찰해 볼 필요가 있다. 그리하여 무조건 많이 읽고, 빨리 읽고, 높은 수준의 책을 읽는 것이 정말로 더 좋은지에 대해 좀 더 정확한 분석을 할 필요가 있다.

미국에는 책 육아라는 말이 없다. 행복한 아이로 키우는 과정에 책이 등장 할 순 있어도 나의 육아를 대표하는 단어로 ‘책’을 대대적으로 쓰지는 않는 다. 아이 때부터 집집마다 한두 세트씩은 있다는 몇십 권의 화려한 전집 문 화도 사실은 한국에서만 두드러지는 현상이다. 우리나라 사람들은 왜 이 렇게 ‘독서’에 목을 맬까? 어쩌면 주어진 답을 외우고 그대로 써내면 되었 던 암기 위주의 교육, 질문하지 않고 듣기 위주의 교육을 겪었던 이전의 한 국에서 책을 통해 자연스럽게 자신의 세계를 확장했던 아이들은 학교에서 얻지 못한 자기 주도적 배움을 통해 사고력과 창의력에 큰 차이를 보였을 수도 있다. 한국의 교육은 그 차이에 주목했고 공교육과 사교육은 앞다투 어 독서와 논술의 영역을 확장해왔을 수도 있다.

똑똑함이 가진 가치가 큰 우리에게는 결국 다독은 아이의 성공과 연결되 는 수단일 수밖에 없는 걸까? 책 육아의 목적은 좋은 대학은 아니라고 말한 다. 마음이 건강하고 행복한 아이가 궁극적으로는 책 육아를 하는 사람들 의 목표라고 알고 있다. 아이가 자신의 꿈을 찾고 만들어 가는 과정에 부모 가 그리고 학교가 채워줄 수 없는 부분들을 책이 채워줄 수 있고 아이의 세 계를 확장해 줄 수 있다. 그러니 책으로 하는 육아가 아니라 육아 안에 책이 해줄 수 있는 영역이 있는 것이다. 책 육아의 진정한 의미와 가치는 다독에 있는 것이 아니라 한두 권을 읽어도 그 내용에 대해 다양한 각도로 반응하 며 새로운 생각과 질문을 만들어내는 것에 있지 않을까 생각한다. 아무리 책을 많이 읽어도 그 내용에 반응하고 생각하는 사람, 책이 주는 지식이 아 니라 책이 주는 경험에 반응하는 사람이 독서가 주는 유익을 진정으로 취 할 수 있는 사람인 것 같다.

경제협력개발기구(OECD) 국가 중 읽기, 수학, 과학 등 모든 영역에서 1, 2위를 하는 핀란드의 경우 유치원 단계에서는 문자 교육이 금지돼 있다. ” 이 시기에는 집중력을 기르는 것이 중요한데 문자 교육이 오히려 집중력 을 해치기 때문”이라고 그들은 이유를 설명한다. 독일에서 시작된 발도르 프 교육에서도 7세 이전에 글자를 가르치지 않는다. 전문가들은 아직 뇌가 성숙하지 않은 영유아 아이들에게 과도한 책 읽기나 문자 학습이 적절치 않다고 이야기한다. 그 시기의 아이들은 사람들과의 교류와 다양한 감각 을 통해 직접 경험함으로써 배움이 확장된다는 것이다. 자연 과학 전집에 서 자세하게 그려진 나비 그림을 보며 나비 몸의 구조를 배우고 애벌레에 서 나비가 되는 과정을 이해하는 것보다 자연에서 날아가는 나비와 교감하는 것이 그 나이 때 세상을 배워가는 가장 자연스러운 방법이라는 것이다.

고백하건대 우리 집에도 수많은 전집이 있다. 아이는 일찍 스스로 읽기를 깨쳤고 어렸을 때부터 다양한 책을 읽어왔다. 하지만 아이가 글씨를 읽게 된 순간부터 나는 오히려 더 독서의 진정한 의미를 찾아주려 노력해 왔다. 어디서든 발에 책이 치이면 주저 않아 글자를 읽어대는 첫째 아이를 보며 책을 많이 읽는다고 뿌듯해할 이유가 없다. 결국은 독서의 힘이 아니라 생 각의 힘이 중요하고 생각의 힘은 단순한 읽기에서 오지 않기 때문이다. 자 신이 경험한 것에 대해 질문하고 자신만의 사유를 하지 못한다면 안 읽은 것만 못하다고 생각한다. 그리고 그런 사유로 나아가는 길은 단순한 다독 에서 오지 않는다.

너무 어렸을 때부터 많은 책을 읽어주려 굳이 노력하지 않아도 된다. 오히 려 다양한 경험을 통해 아이가 관심 있어 하는 것이 무엇인지 따라가는 것 이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다만, 아이가 좋아한다면 혹은 관심 있는 책이 있 다면 함께 읽으며 즐거운 대화를 가져도 좋겠다. 아이가 책을 유난히 좋아 한다면 막을 이유는 없다. 다만 책을 안 읽거나 안 좋아한다고 하여 조바심 을 낼 이유도 없다. 영유아기 때는 ‘책을 꼭 읽어야 하는 것’이 아닌 자신이 좋아하는 이야기가 담긴 것으로 인식하면 된다. 자기 전에 엄마가 읽어주 는 이야기에 기분 좋은 교감을 하는 매개체이면 되는 것이다. 아이가 학교 를 들어가서 읽기를 배우거나 혹은 그전에 스스로 읽는 법을 터득한다면 독서의 양보다는 아이가 고른 책의 내용이 무엇인지, 어떤 점이 흥미로웠 는지, 더 알고 싶은 점은 무엇인지를 토대로 다음 책을 고르거나 독후 활동 을 후원해 주면 된다. 아이들은 대게는 읽기보다는 자신만의 이야기를 만 들어 내는 것에 재능이 많다. 그렇다면 아이의 엉뚱한 이야기를 잘 들어주 는 것이 읽는 것보다 더 중요할 수도 있을 것이다. 아이들은 지금 자신이 무 언가에 관심이 있을 때 그것을 존중해 주고 후원해 주는 부모가 필요하다. 그렇게 자신이 좋아하는 것에 함께 가치를 두고 가는 부모 밑에서 아이들 은 자연스럽게 책 자체가 목적이 아닌 수단임을 알게 되고 잘 이용하게 될 것이라고 생각한다.

글 Jiwon Yoon, ATR-BC, LCPC

미술치료 석사 과정 졸업

Chicago Children’s Advocacy Center 성폭행 피해 아동 치료

한국 GS Caltex Social Contribution Project와 서울문화재단 미술치료사

뉴저지 Center for Great Expectation 약물중독 엄마 치유

뉴저지 Hope and Art Studio 미술치료 스튜디오 설립

이중문화권에서 아이를 키우는 엄마들과 아이들을 위한 그림책 만들기와 상담 프로그램들을 진행 중 <마이 아메리칸 차일드> 팟캐스트 진행 중

www.hopeandartstudio.com /

hopeandartstudio

Translate »
Mom&i 맘앤아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