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들이 학교생활을 따라갈 수 없다는 선생님의 말을 듣고, 교문을 나서며 어머니가 아들에게 말했습니다.“아들아, 너는 특별한 재능을 가지고 있어. 남과 같으면 어떻게 성공할 수 있겠니?”
훗날 노벨물리학상을 받은 아인슈타인(Albert Einstein)의 어머니 파울리네의 이야기입니다. 자녀가 학교에서 “이 아이는 앞으로 무슨 일을 해도 성공할 수 없을 거예요”라는 성적표를 받아온다면 여러분은 어떻게 하시겠습니까? 대부분의 부모가 당황해서 아이를 혼내고 다그칠 테지만 파울리네의 반응은 달랐습니다. 실망한 마음을 쏟아내지 않고 좋은 성품의 태도로 여유 있게, 아이가 호기심을 잘 계발하도록 격려했습니다. 결국 낙오자가 될 뻔한 아이를 창의적으로 바라본 엄마 파울리네 덕분에 아인슈타인은 상대성이론으로 물리학의 패러다임을 바꾸는 위대한 결과를 낳았습니다.
창의성(creativity)이란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입니다. 양육에도 창의성의 좋은 성품이 필요합니다. 창의성을 가진 부모는 자녀가 남다른 장점을 계발하고 세상을 변화시키도록 최상의 안정감을 줍니다. 창의성의 부모야말로 자녀를 행복한 영재로 자라게 하지요.
우리 자녀에게 창의성의 성품을 키워주고 싶다면, 다음과 같이 창의성의 성품양육을 실천해 보세요.
전략 1 기쁨의 성품으로 자존감을 높여 주세요.
창의성이 풍부한 영재들은 자존감을 기반으로 자신의생각을 펼칩니다. 기쁨이란 “내가 얼마나 소중한지 알고 즐거워하는 것”(좋은나무성품학교 정의)이지요.기쁨의 성품으로 높은 자존감을 소유한 아이들은 자신의 생각을 즐겁게 나누지만, 자존감이 낮은 아이들은 상대의 평가를 두려워하고 도전을 주저합니다. 자녀의 창의성을 계발하려면 부모가 먼저 “네가 무엇을 하든 상관없이 너는 우리에게 소중한 존재란다”하고 자존감을 키워주어야 합니다.
전략 2 스스로 해보려는 아이의 의지를 적극 지지해 주세요.
스스로 선택해서 성공해본 경험이 없는 아이들은 쉽게 무력해 집니다. 자녀가 작은 일이라도 부모의 강요나 지시가 아니라, 자발적인 선택으로 시도하려고 하면 놓치지 말고 격려해 주세요. 좋은 선택이 좋은 결과를 가져온다는 경험이 축적될 때, 창의적인 생각으로 문제를 해결하는 태도가 몸에 밸 수 있습니다. 일상생활에서 “오늘 무엇을 입을까”, “방과후 무엇을 하는 게 좋을까” 등에 대해 스스로 선택하며 성공한 경험을 맛보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미국 교육학자 레오 버스카글리아(Leo Buscaglia)는 “창의성은 인생항로가 곤란에 처했을 때, 다른 일로 인도하거나 새로운 길을 찾게 해준다”고 말했습니다. 우리 일상이 고도의 인공지능으로 빠르게 대체되고 있는 문화 속에서 창의성은 세상을 변화시키는 길을 찾게 해주는 좋은 성품이 됩니다.
창의성이란
한국 저작권 등록 제C-2014-008485호
미국 저작권 등록 Registration NO.TX 8-721-576
생각은 반짝반짝, 행동은 통통통! 새롭게 해 보는 것
Trying and trying and trying new ways
Creativity means “coming up with exciting ideas and trying something new.”
모든 생각과 행동을 새로운 방법으로 시도해 보는 것
Trying different ways with ideas.
1단계 정의
2단계 정의
이영숙 박사
미주 좋은나무성품학교 (GOODTREE USA) 대표 (사)한국성품협회 대표 | 前건양대 대학원 교수 미시USA 자녀상담 전문가미주 중앙일보, 네이버, 조선일보 성품교육 칼럼니스트청와대, 한국교육학술정보원, 교육부, 교육청 명사초청 강연
방송 : EBS 60분 부모, SBS 우리아이가 달라졌어요,MBC 꾸러기 식사교실, KBS 내 친구는 일곱살,CBS 세바시 등 교육전문가로 다수 출연
저서 : 12성품론, 성품대화법, 성품훈계법, 성품양육법,성품이노베이션, 성품놀이 등 다수 집필