글 루비 킴 원장 번역/편집 황은미 변호사
어느 날 갑자기 손가락이 저리거나 따끔거린 경험이 있으신가요? 손가락의 감각 이상, 마비 증상, 혹은 잠잘 때 통증이 심해져서 깼지만, 그냥 무심히 방치한 적은 없었나요? 이러한 증상은 손목을 지나는 신경이 눌려 나타나는 증상으로 손목 터널 증후군(Carpal Tunnel Syndrome)의 전조로 볼 수 있습니다. 초기 경미한 증상일 때는 가벼운 생활 습관과 비수술적 치료로 완화될 수 있지만, 방치하다가 악화할 경우에는 수술적 치료까지 고려해야 하는 질환입니다. 남녀노소를 불문하고 흔하게 나타나는 손목 터널 증후군의 증상과 원인, 진단과 치료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증상과 원인
손목 터널 증후군 증상은 엄지, 검지, 중지의 저림, 따끔거림, 무감각, 통증 등이 있습니다. 이것은 손목을 지나는 신경이 장시간 반복적 압박에 노출되어 나타나는 증상입니다. 컴퓨터, 스마트폰, 아이패드 등을 사용할 때 우리는 손목을 지속적으로
(과도하게) 많이 사용하게 됩니다. 손목을 오랫동안 구부리거나 힘을 줘야 하는 이러한 동작은 손목을 지나가는 신경을 지속적으로 압박하게 됩니다. 그 결과 앞서 언급한 감각 이상, 통증 등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됩니다. 초기 증상은 짧게 나타났다가 금세 사라지기 때문에 많은 분이 손가락과 손목의 불편함을 느껴도 쉽게 방치합니다. 이때 치료를 하지 않으면 지속적인 신경 압박으로 더 자주 오랫동안 통증을 느끼게 됩니다. 이것은 또한 손목 터널 증후군이 악화하고 있다는 신호입니다. 이때, 손목 보호대를 사용하여 손목의 중립을 유지하고, 증상이 악화하는 것을 어느 정도 예방할 수는 있습니다. 하지만, 통증이 지속되면 반드시 전문가의 진단과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진단
손목 터널 증후군의 증상과 유사한 증상을 유발할 수 있는 원인은 여러 가지가 있습니다. 그러므로 앞서 언급한 증상들을 경험하고 있다면, 반드시 근전도 검사(Electromyography: EMG)를 받아야 합니다. 근전도 검사는 근육과 근육을 제어하는 신경 세포의 건강을 진단하여, 어떤 신경이 (압박으로 인하여) 기능 장애를 보이고, 통증을 유발하는지를 알 수 있습니다.
비수술적 치료
대표적인 비수술적 치료 방법은 손목 보호대의 착용입니다. 많은 환자가 잠잘 때 손목 보호대를 착용하는 것만으로도 증상이 호전되었습니다. 하지만, 신경의 압박이 이미 꽤 진행된, 악화한 상태에서 치료를 시작할 경우, 손목 보호대로 통증을 완화하기는 어렵습니다. 이런 경우 스테로이드 주사 치료를 진행해야 합니다. 주사 치료는 초음파를 사용하여 통증을 유발하는 신경을 정확하게 찾아내는 것으로부터 시작합니다. 그런 다음 바늘로 통증 유발 신경 주위에 약물을 삽입하여 신경을 누르고 있는 인대의 통증과 압박을 개선합니다. 만약, 몇 번의 스테로이드 주사로도 증상이 완화되지 않는다면 수술을 고려해야 합니다. 손목을 지나는 신경은 감각 신경일 뿐만 아니라 매우 중요한 기능 신경이기에 비수술적 치료가 도움이 되지 않을 때는 반드시 수술로 손목 통증을 개선해야 합니다.
어떤 질병이든 미리 예방하는 것이 가장 이상적이지만 그렇지 못할 경우 증상이 나타났을 때 신속한 진단과 치료를 받는 것이 최선일 것입니다. 손목과 손가락의 불편함이 느껴졌을 때 방치하지 말고 전문의와의 상담을 통해 정확한 진단과 치료로 건강한 일상을 되찾아야 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