건강, 중요한가?

 

발은 신체에서 가장 아래 위치하고 있으면서 우리 몸에서 소홀히 대하게 되는 기관 중 하나입니다. 그러나 실제로는 아주 복잡한 구조를 가지고 있으며, 우리 몸 전체를 지탱해주고 건강에 중요한 역활을 하는 기관이기도 합니다. 발에는 26개의 뼈, 32개의 근육과 힘줄, 107개의 인대가 얽혀있습니다. 또한 건강한 성인 기준으로 걸을 때마다 체중의 1.5배에 해당하는 하중이 발에 가해지고, 하루에5000~8000번의 걸음을 내딛게 됩니다. 심장과 가장 멀리 떨어져 있으면서 심장서 받은 혈액을 다시 올려보내는 ‘제2의 심장’ 역할을하며, 또한  발은 신체의 2%만을 차지하면서 나머지 98%를 지탱하는 ‘몸의 뿌리’이기도 합니다. 그러나, 현대 사회에서 교통 수단의발달로 덜 걷다보니 발 근력이 줄고, 외적 아름다움만 추구해 발에 맞지 않는 신발을 신고, 식생활 변화로 비만 위험이 높아지면서 발건강에 적신호가 켜져 다양한  발 관련 질환으로 발병원을 찾는 환자들이 많습니다.  발에 생긴 문제는 단순히 발에만 국한되지 않습니다. 발이 아픈 걸 방치하면 걷거나 뛰는 일상 생활이 힘들게 되고, 심폐 기능이 저하되면서 면역력이 함께 낮아지는 등 도미노처럼 몸곳곳에서 문제가 발생하기 때문에  발에 아무리 작은 이상과 통증이라도 꼭 관심을 가지고 치료를 시작해야 합니다.

글 – 바로 발, 발목 전문 병원 ( Good Align Foot and Ankle )  원장  전 지용

  1. 대표적인 질환 가지 발이 변형되거나 통증이 생기면 서있는 것부터 시작해 대부분의 일상 생활이 힘들게 되어 순차적으로 무릎, 엉덩이, 허리 관절이나 뼈를 망가트리며 이는 심장·폐 기능의 저하 원인이 되기도 합니다. 발은 체중을 받치면서 많이 움직이는 신체 부위라 근육, 관절, 인대 등의 관련 질환이 생기기 쉽습니다. 대표적인 발 질환은 무지외반증, 족저근막염, 발목 염좌 입니다.

무지외반증

무지외반증 (Bunion) 무지외반증(Bunion)이란 엄지 발가락이 검지쪽으로 휘어지는 것을 말합니다. 최근 족부 의학 전문지에 실린 통계에  따르면 여성의절반이 무지외반증을 앓고 있고, 여성 환자가 남성 환자의 9배나 된다고 합니다. 무지외반증이 심하면 걸을 때마다 통증을 느끼고 그러다 발바닥 앞쪽에 굳은 살이 생기고, 통증이 무릎, 엉덩이, 허리까지 이어지며 발목, 무릎 관절염을 유발하거나 악화시키기도 합니다. 무지외반증(Bunion)의 근본적 치료는 교정 수술입니다. 시중에 무지외반증 보조기라는 것이 나와 있는데, 보조기는 걸을 때 생기는 통증을 덜고 진행을 늦출 뿐, 뼈, 관절, 힘줄 등의 변형을 근본적으로 막거나 회복시키지 못합니다. 무지외반증을 예방하려면 굽이낮고 앞볼이 넓은 신발을 신는 게 최선이지만 역시 유일한 치료법은 교정 수술입니다. 엄지 발가락의 휜 정도가 심하거나, 검지, 중지까지 휘어졌거나, 힘줄, 관절에 이상이 생겼으면 반드시 변형된 뼈를 제자리로 돌려주는 방식의 수술로 교정해야 합니다. 요즘은 수술방법이 많이 발전되어 비교적 짧은 수술 시간(2시간 정도)과 빠른 회복(3주)으로 당일 퇴원해서 일상 생활이 바로 가능합니다.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 발바닥을 둘러싼 근육에 염증이 생기는 족저근막염(Plantar fasciitis)은 전체 인구의 1% 정도가 앓는 흔한 질환입니다. 성인의 발뒤꿈치 통증은 대부분 족저근막염이 원인입니다. 족저근막염은 발뒤꿈치 통증이 아침에 첫발을 디딜 때 가장 심하게 나타나는게 특징이고. 발뒤꿈치부터 발바닥 앞쪽까지를 이어주는 족저근막에 반복적으로 자극이 가해지면, 콜라겐이 변성되고 염증이 생겨서 극심한 통증을 느끼게 느끼게 되기 때문에  체중이 갑자기 늘었거나 무리한 운동을 했을 때 잘 생길수 있고, 또한 여성 호르몬이 급격히 떨어지는 폐경기 여성, 평발인 사람, 운동으로 인해 종아리 근육이 지나치게 발달한 사람에게도 흔하게 생길 수있습니다.

족저근막염이 있으면 냉찜질을 수시로 하거나 아킬레스건과 발바닥의 움푹 파인 곳을 마사지하는 게 도움이 되서 통증을 일시적으로완화시킬 수 있지만, 만약 일상 생활이 불편할 정도로 통증이 심하면 약물 치료와 함께 스테로이드 주사로 치료를 받아야 합니다.

발목 염좌 ( Ankle Sprain) 발목 관절을 지탱해주는 인대가 손상을 입는 발목 염좌도 흔한 발질환입니다. 발목 염좌는운동을 하다가 발목을 접지르거나 계단을 오르내릴 때 발을 헛디뎌 주로 생기게 되는데, 특히 기온이 낮아 근육이 경직되어 있는 가을, 겨울에 조심해야 합니다. 발목 염좌의 가장큰 문제는 재발이 잦다는 것입니다. 발목을 삐끗한 뒤 파스를 붙이거나 찜질을 해도 통증이 남아있거나 멍이 들었다면 병원에 가서 인대, 연골 이상 여부를 반드시 확인해야 합니다. 인대가 파열되고 연골이 손상 입었는데 제대로 치료하지 않으면 퇴행성 관절염이 빨리올 수 있기 때문에 이 때는 압박 붕대나 석고 등으로 발목을 단단하게 고정시켜서 인대가 정상적으로 회복되게 하는 것이 필요합니다. 평소 운동하기 전에, 발목 스트레칭을 충분히 해야 발목 염좌를 예방할 수 있습니다.

“ 발이 편해야 일상이 편안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