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천에 좋은 갤러리가 즐비한 문화와 예술의 도시에 살고 있다고 해도, 밖에 나가 작품을 즐기며 고급 인프라를 누리기 쉽지 않을 때가 많다. 교통, 날씨, 바쁜 스케줄, 컨디션 등 여러 가지 이유로. 코로나19 재난이 계속된 작금의 상황에서는 더욱 그렇다. 여기 독립 큐레이터로서 전시회를 기획하는 전문가가 있다. 그녀는 우리에게 찾아가는 전시, 즉 전시회를 가지 않고도 글과 사진으로 전시를 관람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 맘앤아이의 ‘그림 읽어 주는 큐레이터’를 통해 편안하게 집에서 그림들을 감상해 보자. 오늘의 전시회는, 지난달 소개한 그룹 전시회 “바람”에 함께했던 최성호 작가에 대한 이야기다.
계절의 여왕 5월입니다. 새로운 시작과 희망의 상징인 봄을 맞은 게 엊그제인 것 같은데 계절의 여왕인 5월이 벌써 찾아오니, 이 계절이 주는 시적이고 감미로운 향기에 감성이 더욱 충만해집니다. 예술을 하는 아티스트들이 작품을 하는 일에 있어서 감성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그래서 아티스트들에게 영감과 감성을 줄 수 있는 5월이 저는 좋습니다. 감성이라는 것은 많은 작가들에 의해 예술작품으로 탄생되는데 오늘 최성호 작가의 작품을 들여다보며 지성과 감성을 이야기해 볼까 합니다.
한국에서 홍익대학을 졸업하고 자연을 소재로 추상작품을 해왔던 최성호 설치작가는 81년 뉴욕 브루클린에 위치한 미술학교인 프랫 인스티튜트 대학원에 유학을 오면서 뉴욕에서 인정받는 작가로서의 삶을 시작하게 됩니다.
그는 83년 어느 날 브롱스 보태니컬 가든에서 잘려 나가 밑동만 남은 나무의 나이테를 보게 되었는데, 이날 이후 탄생된 작품들이 나무의 나이테를 미니멀한 추상으로 표현한 작업들입니다
Chois Market, 1993 Morning Calm, 1999 Their Korea, 1994
이 시기 최성호 작가의 주요 전시활동 몇 가지를 예로 들자면, 뉴욕 화단에서 큰 주목을 받았던 뉴욕 퀸스 아트 뮤지엄에서 개최된 전시 “Across The Pacific(1993)”, 그리고 이를 계기로 아시아 소사이어티에서 개최하여 2년간 미국 순회전시를 하며 작품세계를 소개하는 데 기여한 전시 “Asia/America: Identities in Contemporary Asian American Art” 그리고 1999년 시애틀 샌드포인트구 해군 비행기지에서 했던 야외 설치작품 전시입니다. 야외 설치에서 보여준 “Morning Calm(1999)” 작품은 둥근 구조물을 만들고 그 안에 연못을 만들어 잔디로 덮인 한반도 모형을 38선에서 둘로 나누어 물위를 떠다니게 하는 작품으로 절대 하나로 될 수 없는 분단된 한반도의 상황을 표현한 설치작품입니다.
My America, 1996 American Pie, 1996 Quiltroad, detail, 2004
이 시기에는 뉴욕시 문화청 산하 단체를 통해 공공 설치 미술작품 벽화 설치를 의뢰 받아 제작한 두 작품이 뉴욕시 24학군 소속 퀸스 엘머스트 소재 중학교 IS-5에 1996년 영구 설치되었습니다. 새로 지어지는 중학교의 강당 뒷면 벽에는 미국 성조기를 배경으로 24개의 다른 언어들로 발간된 일간 신문들을 조합하여 퍼즐모양으로 구성된 미국 지도를 벽화로 제작한 “My America(1996)” 그리고 1층 홀 천장에는 미국 이민자들을 상징하여 48개의 다른 언어들로 된 신문을 조합하여 파이 형태로 제작한 “American Pie(1996)” 작품이 각각 설치되었습니다. 이밖에도 세계 각 나라의 고유 문양을 퀼트 조각처럼 그려 넣어 다문화가 어우러진 세계 평화를 상징하는 ‘Quiltroad’ 작업이 2004년 시애틀 미연방 법정에 영구 설치되었습니다.
Korean Roulette, 1992 American Dream, 1993
Centrifugal, 1999 Williamsburg Expulsion, 2005
이 시기에 작품들로는 이민자로 청과상에서 일을 하며 살아가는 일반적인 한국인들의 생활 루틴을 표현한 “Korean Roulette(1992)”, 처음으로 복권종이를 사용하여 아메리칸 드림의 허실적인 생활상을 표현한 93년 작 “American Dream(1993)”이 있고, 이 작품들 이후 한동안 복권종이를 사용한 작업은 쉬었다가 2005년부터 다시 시작하게 됩니다. 미국 내 인종차별의 한 예로 손가락 방향 표시에 의해 나뉘는 유색인종을 위한 방향 표시를 풍자한 “Centrifugal(1999)”, 아담과 이브가 에덴에서 쫓겨나듯 도시계획에 의해 나고 자란 타운을 쫓겨나는 흑인들을 풍자한 작품 “Williamsburg Expulsion(2005)” 등이 있습니다